코딩 자율학습단 5기 - 1일차 환경 셋업

2023. 11. 20. 23:57공부/BackEnd - Spring Boot

1일차는 별 어려움 없이 가볍게 진행하였다. Java 17 version 설치 및 IntelliJ 설치 방법 등은 이미 인터넷에 많이 나와있어서 따로 적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. Spring Boot 는 프로젝트를 만들 때  Spring Initializr 를 지원해주는데, 여기서 미리 프로젝트에 사용할 버전이나 라이브러리를 설정할 수 있어서 굉장히 간편하고 좋았다. 책에서 나온 것처럼 기초 설정 및 Dependencies 를 설정하고 Generate 를 해주면 프로젝트 파일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.

Spring initializr 사용 예시

 

그 후, 해당 프로젝트를 IntelliJ를 통해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구조 및 bulid 프로그램까지 해서 자동으로 잘 생성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
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예시

 

그 후 우측 Tab에서 모든 Gradle project 를 한 번 다시 Load 해주고 코드를 실행시켜본다.(run, debug 상관 없음)

Spring Boot Project Run

 

그러면 터미널 창에서 다음과 같이 Project 가 실행되었다는 문구와 함께 localhost:8080 으로 들어가면 서버에서 주는 응답을 확인해볼 수 있다. Error 가 뜨는 이유는 현재 해당 페이지에 관한 return 값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.

Spring Boot Return Page

 

그 후 책에서 나온 대로 다음과 같은 경로에 해당 파일을 만든 후 localhost:8080/hello.html 을 호출해보면 응답을 받은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.

Spring Boot hello.html return 화면

 

여기 까지 해서 1일차 Spring Boot 맛보기를 마무리하였다. 단순히 Spring Boot 라는 것은 백엔드에서 front 와 DB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줄로만 알았는데, 이렇게 파일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다.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꾸준히 공부해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도록 열심히 해야겠다. 화이팅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