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 자율학습단 5기(7)
-
마지막 학습 - Comment view 및 dto 구성.
사실 진작 끝났는데 연말이라 바빠가지고 마무리 글을 이제서야 작성한다. 이렇게 약 4주간의 19 챕터 학습이 끝이 나게 되었다. 학습 자체는 4주간 했는데 블로그 글 개수는 좀 더 적긴 해도 챕터 자체는 전부 마무리 하였다!! 다음과 같이 특정 Article 에 들어가면 해당 article 에 엮인 comment 를 보여주는 view 를 먼저 구성하였다. 하단의 nickname 과 body 를 채우고 댓글 생성을 하면 다음과 같이 modal 창이 pop up 되며 comment 가 추가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리고 특정 comment 를 수정하면 해당 comment 내용을 가져와 modal 에 보여준 후, 수정 버튼을 누르면 comment 가 수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리고 마지막으로 삭제..
2023.12.27 -
10일차 - 서비스 계층과 트랜잭션 &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
2장 챕터 분량인데 뭔가 코드 상에서 그렇게 변경하지 않아서 한 번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. 우선 서비스 계층의 경우에는 기존에 Controller 에서 직접 DTO, entitiy 를 호출하던 것을 Service 를 거쳐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으로 수정하였다. 원래 Controller 단에서 바로 데이터를 제어하지 않고 Service 를 하나 거치는 형태로 주로 이용한다고 한다. 그래서 Controller 에선 service 만 호출 및 return 받고 service 에서 dto, entity 를 이용해 DB 에서 직접 값을 가져오는 형태로 코드를 수정하였다. 이 부분은 단순히 코드 refacotring 이라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. 트랜잭션이란 수행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하는데, 주로 service 단..
2023.12.07 -
9일차 - HTTP 와 Rest Controller
오늘은 직접 RestController 를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. MVC 모델을 활용하여 view 를 return 해 줄 때는 Controller 였으나 REST API 생성을 위해서는 RestController 를 사용한다고 한다. 책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CoffeeApi 를 하나 만들어 보았다. 코드에 관해서는 하기 Github 링크를 첨부해 둘 수 있도록 하겠다.(Coffee, CoffeeForm, CoffeeRepository, CoffeeApiController 참고) coffee list 를 가지고 오는 GET 서비스 특정 Id 를 가진 coffee data 를 가져오는 GET 서비스 BAD Request 대응 -> 존재하지 않는 ID 값이 들어오면 빈 body와 HttpStatus...
2023.12.05 -
8일차 - REST API 와 JSON
드디어 이 내가 백엔드라는 분야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REST API 단계에 들어오게 되었다. REST API 란 무엇인가? 우선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의 약어로, app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전에 약속되어진 규칙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. 예를 들어 우리는 tv 를 켤 때 리모콘이 어떻게 동작하는 지는 모르지만, 리모콘을 조작하면 채널을 바꾸고 tv 를 on/off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. 또한 자동차가 어떻게 움직이고, 변속하는지 자세히는 모르지만, 엑셀을 밟으면 가속하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멈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. 따라서 REST API 란 서버와 다른 clinet 간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..
2023.12.03 -
7일차 - Update / Delete Page 만들기
저번에는 read, create 를 만들었으니 이젠 update/delete 기능을 만들었다! 저번에 만들어놓은 부분에서 상세 페이지를 들어가기 위해 email 주소 부분을 눌러준다. 그러면 다음과 같이 edit, delete 버튼이 활성화 되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먼저 edit 을 눌러보자. edit 을 누르면 해당 정보를 불러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. 요렇게 바꾸고 제출해보면?? 요렇게 정보가 바뀌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잘 동작되어서 다행이다 굿굿. 그리고 이제 해당 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delete 를 눌러보자 그러면 하기 화면과 같이 기존의 4번 id data 가 사라진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. delete 도 잘 동작해서 다행이다. 그리고 이번에 sql logging opti..
2023.12.02 -
코딩 자율학습단 5기 - 3일차 DTO 사용해보기
이번 내용은 database 에 저장하기 위한 dto 를 사용해보는 것이다. dto 는 data 를 받아오고 이를 db 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라고 한다. 우선 이번 dto 체험용으로 사용할 새로운 controller 를 생성하였다. 하나는 view 를 보여주기 위함이고, 하나는 post 요청을 보내기 위한 서비스이다. 그 후 데이터를 받고 전송해주기 위한 view 및 view template 를 생성하였다. 그 후, dto 패키지 생성 및 그 안에 ArticleForm 이라는 dto 클래스를 하나 생성하였다. Intellj 에서 자동완성도 해줘서 엄청 편하게 만들 수 있었다. ArticleForm 은 생성자(초기화 용) 으로 만든 것이고, toString 은 값이 잘 받아져왔는지 확인해보기 위하..
2023.11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