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(41)
-
내돈내산 로지텍 지슈라2 후기
이번에 새해 기념 큰 맘 먹고 로지텍 G-Pro Superlight2 통칭 지슈라 2 를 구매하였다. 사실 너무 비싸서 좀 고민을 많이 했는데 ( 네이버 구매가 199000원), 새해엔 더 열심히 코딩하자는 생각으로 하나 구매해 보았다. 나는 참고로 로지텍 마우스( MX Master 3s )를 이미 애용 중인데, 이것도 불만 없이 너무 잘 쓰고 있다. 사실 이것도 처음 구매할 땐 비싸서 좀 고민을 많이 했는데(당시 약 13~14 만원 정도) 사용해보니 후회 없었던 것이 이번 구매에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. 하기 이미지에서 왼쪽이 MX Master 3s 고 오른쪽이 지슈라2 이다. 솔직히 처음 받았을 때는 와 이게 20만원??? 이라는 생각이 좀 들었는데 잡아보니까 진짜 너무 가볍다.... 안에 뭐가 들..
2024.01.03 -
Spring Boot - MySQL 연동하기
코딩 자율학습단이 끝나고 더 공부하기 위해 뭐부터 해볼까 하다, 책 마지막 페이지에 있던 외부 DB 와 연동하기를 해보기로 하였다. 기존에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h2 database 를 이용하였기에, 휘발성이라는 단점이 있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초기화를 해주어야 했지만 외부 DB 와 연동하면 이제 그럴 필요가 없다. 어떤 DB 를 쓸가 하다가 기존에 써본 경험이 있는 MySQL 로 연동해보기로 하였다. MySQL server 및 MySQL WorkBench 설치 및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더 좋은 글이 많으니 링크를 공유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. MySQL Server 설치 (For Windows, Community) : 네이버 블로그 (naver.com) MySQL Workbench 연동 및 사용..
2023.12.31 -
마지막 학습 - Comment view 및 dto 구성.
사실 진작 끝났는데 연말이라 바빠가지고 마무리 글을 이제서야 작성한다. 이렇게 약 4주간의 19 챕터 학습이 끝이 나게 되었다. 학습 자체는 4주간 했는데 블로그 글 개수는 좀 더 적긴 해도 챕터 자체는 전부 마무리 하였다!! 다음과 같이 특정 Article 에 들어가면 해당 article 에 엮인 comment 를 보여주는 view 를 먼저 구성하였다. 하단의 nickname 과 body 를 채우고 댓글 생성을 하면 다음과 같이 modal 창이 pop up 되며 comment 가 추가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리고 특정 comment 를 수정하면 해당 comment 내용을 가져와 modal 에 보여준 후, 수정 버튼을 누르면 comment 가 수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리고 마지막으로 삭제..
2023.12.27 -
10일차 - 서비스 계층과 트랜잭션 &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
2장 챕터 분량인데 뭔가 코드 상에서 그렇게 변경하지 않아서 한 번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. 우선 서비스 계층의 경우에는 기존에 Controller 에서 직접 DTO, entitiy 를 호출하던 것을 Service 를 거쳐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으로 수정하였다. 원래 Controller 단에서 바로 데이터를 제어하지 않고 Service 를 하나 거치는 형태로 주로 이용한다고 한다. 그래서 Controller 에선 service 만 호출 및 return 받고 service 에서 dto, entity 를 이용해 DB 에서 직접 값을 가져오는 형태로 코드를 수정하였다. 이 부분은 단순히 코드 refacotring 이라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. 트랜잭션이란 수행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하는데, 주로 service 단..
2023.12.07 -
9일차 - HTTP 와 Rest Controller
오늘은 직접 RestController 를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. MVC 모델을 활용하여 view 를 return 해 줄 때는 Controller 였으나 REST API 생성을 위해서는 RestController 를 사용한다고 한다. 책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CoffeeApi 를 하나 만들어 보았다. 코드에 관해서는 하기 Github 링크를 첨부해 둘 수 있도록 하겠다.(Coffee, CoffeeForm, CoffeeRepository, CoffeeApiController 참고) coffee list 를 가지고 오는 GET 서비스 특정 Id 를 가진 coffee data 를 가져오는 GET 서비스 BAD Request 대응 -> 존재하지 않는 ID 값이 들어오면 빈 body와 HttpStatus...
2023.12.05 -
8일차 - REST API 와 JSON
드디어 이 내가 백엔드라는 분야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REST API 단계에 들어오게 되었다. REST API 란 무엇인가? 우선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의 약어로, app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전에 약속되어진 규칙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. 예를 들어 우리는 tv 를 켤 때 리모콘이 어떻게 동작하는 지는 모르지만, 리모콘을 조작하면 채널을 바꾸고 tv 를 on/off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. 또한 자동차가 어떻게 움직이고, 변속하는지 자세히는 모르지만, 엑셀을 밟으면 가속하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멈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. 따라서 REST API 란 서버와 다른 clinet 간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..
2023.12.03